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기업 재무제표 기초(손익·재무·현금흐름) 재무제표는 기업 활동을 숫자의 문장으로 기록한 보고서다. 손익계산서는 한 기간의 성과를,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의 체력을, 현금흐름표는 돈이 실제로 오간 길을 보여 준다. 세 보고서는 서로 연결되어야 해석이 완성된다. 매출과 이익의 질, 자산과 부채의 배치, 설비투자와 배당·차입의 조합을 한꺼번에 읽어야 사업의 진짜 방향이 보인다. 숫자 단독의 미세한 등락보다, 항목 간 구조와 흐름의 일관성이 판단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손익계산서: 매출에서 순이익까지, 수량·가격·믹스와 비용 구조의 해석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의 경영 성과를 한 줄씩 풀어 놓은 서술이다. 맨 앞의 매출은 수량×가격×제품·지역 믹스의 곱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매출원가를 빼면 매출총이익이 나온다. 판관비를 제외한 값이 영업이익이고, 금융손익.. 2025. 9. 29.
부동산 가격을 움직이는 요인 부동산 가격은 가구 수와 소득, 금리와 대출 규제, 토지 이용과 인허가, 인구 이동과 일자리 분포, 세제와 제도의 조합으로 결정된다. 동일한 거시 변수라도 지역의 산업 구조, 교통망, 생활 인프라, 학교·녹지·상업 동선 같은 미시 입지가 중간에서 증폭·감쇄를 만든다. 이 글은 수요·공급의 구조적 축, 지역성과 입지의 미시 축, 사이클과 재무 운용의 시간 축으로 나눠 가격 결정 메커니즘을 정리하고, 가계와 사업이 의사결정에 바로 적용할 점검표를 제시한다. 평균이라는 거친 지표 대신, 각자의 현금흐름과 거주·투자 목적, 보유 기간과 리스크 허용도를 좌표로 삼아 가격을 읽는 방식을 목표로 한다.수요·공급의 구조적 축: 가구 수, 소득·금리, 제도·세제의 상호작용부동산 수요의 1차 원천은 인구 총량이 아니라 ‘.. 2025. 9. 28.
주식시장 구조와 지수의 의미 이 글은 주식시장을 거래소·호가·청산의 인프라와 기관·개인·외국인·마켓메이커의 행위가 얽힌 체계로 보고, 지수가 이 체계를 요약하는 계기판이라는 관점에서 정리한다. 지수의 산식과 편입 규칙, 승자편향과 섹터 가중 같은 내장 편향을 짚고, 지수를 투자·리스크 관리에 연결하는 절차를 제시한다. 가격의 소음과 구조의 신호를 분리해 읽는 루틴을 마련해, 지수 숫자를 생활과 포트폴리오의 문장으로 번역한다.거래소 인프라와 참여자, 가격 형성의 메커니즘주식시장은 매수자와 매도자가 가격과 수량을 제시해 만나는 호가주문서(order book)를 중심으로 작동한다. 거래소는 규칙과 설비를 제공하고, 예탁결제·청산기관은 소유권 이전과 대금 결제를 보증하며, 증권사는 주문을 위탁·주선하고, 마켓메이커와 유동성공급자는 호가 간.. 2025. 9. 28.
자산가격과 버블의 징후 자산가격은 현금흐름과 할인율, 위험 프리미엄과 유동성, 서사와 기대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이 글은 공정가치의 ‘하나의 점’이 아니라 ‘범위’라는 관점에서 가치 판단의 좌표계를 세우고, 버블이 형성·팽창·붕괴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반복적으로 관찰되는 지표와 행동 패턴을 묶어 정리한다. 이어서 가계·사업의 의사결정을 포지션 크기, 레버리지 상한, 유동성 버킷, 리밸런싱 규칙 같은 절차로 번역해, 가격 변동을 견디는 시스템을 제시한다.자산가격을 움직이는 축과 ‘공정가치 범위’의 설정자산가격의 출발점은 미래 현금흐름의 크기와 타이밍, 그리고 이를 현재로 환산하는 할인율이다. 현금흐름은 기업의 매출·마진·세후이익과 잉여현금, 부동산의 임대료·공실률·유지보수비, 채권의 쿠폰과 상환 구조 같은 실체적 요소로 .. 2025. 9. 28.
가계부채와 이자 부담의 위험 가계부채는 소득과 자산, 현금흐름과 위험 감당력을 하나의 수식으로 묶는 변수다. 이 글은 LTV·DTI·DSR 같은 핵심 지표로 부채 구조를 지도화하고, 금리 상승과 소득 변동이 원리금 상환에 전이되는 경로를 정리한다. 이어서 상환 순서와 만기 설계, 변동·고정 전환, 재대출·통합의 의사결정 규칙을 체크리스트로 제시해, 채무를 단순 금액이 아니라 ‘관리 가능한 현금흐름’으로 바꾸는 실전 로드맵을 제공한다.부채 구조의 지도와 핵심 지표, 현금흐름 중심의 해석가계부채를 이해하려면 금액보다 구조를 먼저 본다. 구조는 담보 여부, 만기, 상환 방식, 금리 유형, 가산금리와 각종 수수료, 조정 주기, 조기상환 조건으로 구성된다. 담보대출은 LTV(담보인정비율)가 핵심이다. LTV가 높을수록 가격 조정 시 자기자본.. 2025. 9. 27.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역할 이 글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경제의 두 바퀴로 놓고, 정의와 작동 경로, 강점과 한계, 충돌과 보완의 조건을 한 틀로 정리한다. 금리·유동성·기대 관리가 만드는 빠른 파급과, 세입·세출·이전지출이 만드는 표적 효과를 비교하고, 경기 국면·충격의 성격·제약 조건에 따라 어떤 조합이 효율적인지 판단하는 규칙을 제시한다. 가계와 사업이 체감하는 금리·세금·보조의 실제 동선을 연결해, 뉴스의 숫자를 생활의 결정으로 번역하는 절차를 제공한다.정의와 작동 경로: 금리·기대의 파급과 세입·세출의 표적성통화정책은 중앙은행이 금융 여건을 조정해 총수요의 속도와 기대를 관리하는 장치다. 기준금리 조정이 콜금리와 단기 시장금리에 신호를 주고, 예·대출 금리와 채권수익률, 자산의 할인율, 환율로 파급된다. 금리 인상은 차입.. 2025.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