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공부 8탄 몽골 간섭기와 개혁의 모색
원 간섭과 국제 체제 원 간섭, 국제, 체제, 국경이라는 낱말을 먼저 붙잡는다. 강한 이웃이 생기면 작은 나라는 살 길을 찾기 위해 몸을 낮추거나, 시간을 벌며 힘을 모은다. 고려는 바닷길과 산길, 강을 따라 성을 잇고 버티는 동안, 바깥과의 약속을 조심히 고쳤다. 약속을 어기면 큰 벌을 받지만, 약속을 잘 지키면 작은 숨을 쉴 틈을 얻었다. 이 균형을 어떻게 잡느냐가 그 시대의 살림이었다.간섭은 여러 얼굴을 했다. 바깥의 관리가 와서 문서를 살피고, 인질로 보낸 사람이 돌아오지 못하는 일도 있었다. 말과 군사를 빌려 달라는 요구가 잦았고, 특산물과 세금을 더 내라는 요구도 이어졌다. 이런 요청을 모두 막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조정은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되, 백성의 살림을 무너지게 하는 요구는 시간을..
2025. 9. 3.
한국사 공부 6탄 고려 건국과 귀족국가의 운영
태조의 후삼국 통합 전략 태조, 통합, 후삼국, 전략이라는 낱말을 먼저 떠올린다. 큰 집단이 셋으로 갈라져 서로 다투던 때, 한쪽은 바닷길 장사와 물길 장악으로 힘을 모으고, 다른 한쪽은 들판과 산성을 지키며 버텼다. 태조는 성을 치는 힘보다 마음을 끌어오는 힘을 더 믿었다. 억지로만 누르지 않고, 항복한 이의 목숨을 살리고 집과 땅을 돌려주며 손을 내밀었다. 이 소식이 퍼지자, 싸움터에서 진 편도 두려움 대신 기대를 품었다.태조는 길을 먼저 보았다. 큰 강이 바다와 만나는 하구, 산맥을 넘는 낮은 고개, 배가 쉬는 나루를 하나씩 붙잡았다. 길목을 쥐면 군사와 곡식이 막히지 않는다. 길이 살아 있으면 먼 곳의 소식도 빠르게 오간다. 그래서 성을 쌓고 창고를 채우는 일과 함께, 장사꾼과 농부가 안심하고 드..
2025. 9. 2.